청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고민 해보셨을 거예요. 월급은 빠듯하고, 물가는 오르기만 하고, 통장은 늘 텅텅…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도 3년 뒤 최대 1,44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있어요. 바로 ‘청년내일저축계좌’입니다! 아주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청년내일저축계좌, 나도 받을 수 있을까? 3년 뒤 최대 1,440만 원 만들기 비법 대공개!
이번 2025년 5월 신규 모집 일정부터, 누구에게 얼마나 주는지,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까지 싹 다 알려드릴게요.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일하는 저소득 청년을 위한 자산형성 지원제도예요.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매달 10만 원 또는 30만 원을 더 얹어주는 형태죠.
3년만 성실히 저축하면, 본인 돈 360만 원에 정부지원금 360~1,080만 원까지 더해져 최대 1,44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어요. 이자까지 붙으면 금액은 더 커지겠죠?
지원 대상은 누구?
2025년 기준, 다음과 같은 청년들이 신청할 수 있어요.
구분 | 차상위 초과 | 차상위 이하 |
연령 | 19세~34세 | 15세~39세 |
가구소득 | 기준 중위소득 50%~100%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근로소득 | 월 50만 원 초과~250만 원 이하 | 월 10만 원 이상 |
정부지원 | 월 10만 원 | 월 30만 원 |
3년 후 지급액 | 720만 원+이자 | 1,440만 원+이자 |
※ 중요 포인트!
2025년부터는 근로소득 상한 기준이 기존 230만 원에서 250만 원으로 완화되어 더 많은 청년이 신청할 수 있게 되었어요.
신청 기간과 방법은?
- 신청 기간: 2025년 5월 2일(금) ~ 5월 21일(수)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 복지로(www.bokjiro.go.kr)
- 오프라인 신청 –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단, 선거 사전투표로 인해 혼잡할 수 있어, 5월 16일 이전 방문을 권장해요.
신청을 위해선 소득 및 재산 확인을 거쳐야 하며, 8월 중에 대상자 선정 결과를 문자로 안내해준다고 해요.
저축은 어떻게 하나요?
선정된 청년은 하나은행에서 통장을 개설해 8월부터 매달 10만 원 이상 저축을 시작하면 돼요. 비대면으로는 하나은행 원큐앱에서도 계좌 개설이 가능해요.
가입자 편의 기능도 업그레이드!
2025년부터는 여러 편의 기능이 도입되었어요.
- 온라인 계좌 관리 가능
- 이제는 적립 중지, 해지 신청 등 모든 관리를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비대면으로 처리 가능해요. (하반기 개시 예정)
- 금융교육 서비스 제공
- 만기 해지를 앞둔 가입자에게는 기초 자산 교육 + 1:1 금융 상담도 제공해줘요. 이건 전국 광역자활센터에서 신청하면 된답니다.
가입 조건만 지키면 3년 뒤 목돈 확보!
가입 후에도 몇 가지 유지 조건을 지켜야 해요.
- 근로활동 지속
- 매월 본인 저축금 납입
- 소득 기준 유지
- 자립역량교육(10시간) 이수
- 자금활용계획서 제출
이것만 충족하면 만기 후 목돈을 받을 수 있어요. 교육과 계획서를 내야 해서 약간의 노력이 필요하지만, 1,000만 원 넘는 돈이 생기는데 이 정도는 할 만하죠?
꼭 알아야 할 팁
- 소득이나 자산이 기준을 초과하면 중도 탈락될 수 있으니, 직장 변경이나 소득 증가 여부를 잘 체크하세요.
- 신청서류는 복지로 또는 자산형성포털(hope.welfareinfo.or.kr)에서 확인 가능해요.
- 궁금한 점은 1522-3690 콜센터 또는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에서 상담받을 수 있어요.
[보도자료 다운로드]
3년의 노력, 1,000만 원이 넘는 보상!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단순한 저축을 넘어, 청년의 미래에 날개를 달아주는 제도예요. 요즘 같은 시대에 저소득 청년이 정부의 도움을 받아 안전하게 자산을 쌓을 수 있는 기회는 흔치 않죠.
물가 오르고, 월세도 부담인데 이왕 일하고 있는 청년이라면 이 제도를 꼭 활용해보세요. 3년 뒤 자신에게 든든한 선물을 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될 겁니다.
✦ 유용한 정보
목록 클릭 시 내용 확인 가능합니다.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해킹과 유심 해킹, 내 정보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대처법 (0) | 2025.04.29 |
---|---|
교통문제 해결 신호탄! 마을택시 화물운송, 전세버스 복합운송 시대 개막 (2) | 2025.04.28 |
서울 어린이날 행사! 용산공원 임시개방부지에서 온 가족 즐길거리 풍성 (1) | 2025.04.28 |
SKT 유심 해킹 논란, 유심 무료 교체 등 고객 보호 강화 방안 정리 (2) | 2025.04.25 |
2025년 평생교육 이용권 신청 방법부터 사용 팁까지! (0)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