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 확대! 정부는 2만 대 보급과 160억 원 보조금을 지원합니다. 전기이륜차 보조금 지원 대상, 지원 금액, 신청 절차 등 필요한 정보를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 확대 및 보조금 혜택 총정리
정부는 2025년을 기점으로 친환경 정책을 강화하며 전기이륜차의 보급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전기이륜차의 시대가 열리나 봅니다.
올해는 총 2만 대의 전기이륜차를 보급하며, 이를 위해 160억 원 규모의 보조금이 지원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변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전기이륜차 보조금의 조건과 혜택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유용한 정보
목록 클릭 시 내용 확인 가능합니다.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 및 보조금 확대
환경부는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 목표를 2만 대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대규모 보조금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 전기이륜차 보급대수
(보조금 지급대수 기준, 단위: 대 / 보조금 미지급 차량이 있어 국토교통부 신고대수와 차이)
작년(2024년) 대비 약 33% 증가한 수치로, 정부의 친환경 교통수단 전환 의지가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급 목표: 전기이륜차 2만 대
- 총 예산: 160억 원
- 주요 변화: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확대, 보조금 지원율 증가
특히 배터리 교환형 전기이륜차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었는데요. 기존 보조금이 60%였던 것이 70%로 증가하며,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도 500기 이상 추가 설치될 예정입니다. 이는 충전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장기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려는 정책적 의도로 보여집니다.
전기이륜차 보조금 지원 대상 및 금액
전기이륜차 보조금은 차량 종류 및 성능, 지역별 정책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지원 대상
- 개인: 만 16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
- 법인 및 단체: 사업용 전기이륜차 구매 기업 및 단체
- 지방자치단체: 공공목적으로 전기이륜차를 구매하는 경우
▷지원 금액
차량유형 | 배기량 및 출력 | 보조금(만원) | ||
국고 | 지자체 | 총 지원금 | ||
경형 | 50cc 미만 (4kW 이하) | 최대 150 | 최대 100 | 최대 250 |
소형 | 50cc 이상 125cc 이하 (11kW 이하) | 최대 200 | 최대 120 | 최대 320 |
중형 | 125cc 이상 260cc 이하 (11kW 초과 15kW 이하) | 최대 250 | 최대 150 | 최대 400 |
대형 | 260cc 초과 (15kW 초과) | 최대 300 | 최대 200 | 최대 500 |
※ 단, 지자체 보조금은 지역별로 상이하므로, 거주 지역의 지원 정책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기이륜차 보조금 신청 절차
전기이륜차 보조금 신청 과정은 간단지만, 예산이 한정되어 있어 선착순으로 지급되므로 빠르게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차량 구매 계약: 대리점을 통해 보조금 대상 차량을 계약합니다.
- 보조금 신청: 대리점이 무공해차 통합누리집(ev.or.kr)을 통해 신청합니다.
- 서류 제출: 신분증, 구매 계약서, 지자체 요구 서류 제출
- 차량 등록: 구매 후 2개월 이내 차량 등록 완료
- 보조금 지급: 차량 등록 후 보조금 지급 (차량 대금 차감 또는 계좌 입금)
전기이륜차 보조금 신청 - 무공해차 통합 홈페이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바로가기
※ 참고) 전기이륜차 차량 등록 절차
전기이륜차를 정상적으로 운행하기 위해서는 차량 등록은 필수이고, 등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보험 가입: 자동차 책임보험(이륜차용) 가입
2. 서류 준비
- 신분증 (개인의 경우)
- 사업자등록증 (법인의 경우)
- 차량 제작증 (제조사 제공)
- 구매계약서 및 세금계산서
- 책임보험 가입 증명서
3. 등록 신청
- 거주지 관할 시청, 구청, 또는 차량등록사업소 방문 신청
4. 등록비 및 번호판 발급
- 등록세 및 취득세 납부 (일부 지자체 감면 가능)
- 번호판 발급 및 장착
5. 완료 및 운행 가능
전기이륜차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유지비 절감: 기름값과 엔진오일 교체 등의 유지보수 비용이 거의 없음.
- 친환경적: 배출가스가 없어 탄소중립 정책에 기여.
- 소형 모델의 편리성: 도심에서 이동 및 주차가 용이함.
▶ 단점
- 충전 문제: 배터리 충전 시간이 길어 긴급한 상황에서 불편함.
- 출력 한계: 언덕이 많은 지역에서는 내연기관 이륜차보다 출력이 부족할 수 있음.
- 중고 판매 어려움: 보조금 지원 차량은 일정 기간 동안 소유해야 하며, 중고 시장에서 감가상각이 큼.
개인적인 경험과 전망
최근 전기이륜차 구매를 생각하다가 몇몇 기종을 조사해 보았는데요. 보조금이 확대된다는 소식을 듣고 기대가 커졌지만, 충전 인프라 부족과 중고차 감가상각 문제는 여전히 고민거리였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전기이륜차가 대세가 될 것은 분명하며,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충전 인프라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매력적인 선택이 될 것입니다.
글을 마치며,
2025년 전기이륜차 보조금 확대는 친환경 교통수단 보급을 위한 중요한 정책 변화인 것 같습니다. 구매를 고려하는 분들은 지원 대상과 보조금 정책을 꼼꼼히 살펴보고, 빠르게 신청하여 혜택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고령자·중소기업 근로자를 위한 2025 특화주택 공모 신청 안내 (0) | 2025.04.06 |
---|---|
실업 급여 온라인 신청, 쉽고 빠르게 하는 방법 (0) | 2025.03.08 |
건강 챙기고 지원금 받는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신청 방법, 혜택 (0) | 2025.02.28 |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 방법 및 혜택 총정리! 2006년생 필독 (0) | 2025.02.25 |
2025 다자녀 혜택 (출산 지원금, K-패스 교통비 환급, 금리 우대 등) (2)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