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23일부터 임신 초기 유산·사산 휴가가 5일에서 10일로 확대됩니다! 또한 난임 치료 휴가, 육아휴직 기간 연장 등 임신·출산·육아 지원이 강화됩니다. 이번 개정안의 핵심 내용을 한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해 봤어요!
임신초기 유산·사산 휴가 기간 확대! 꼭 알아야 할 최신 정책
임신과 출산은 여성의 몸과 마음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시기인데요. 특히, 임신 초기 유산이나 사산을 경험한 경우 몸과 마음을 회복할 시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충분한 휴식을 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는데요. 다행히 2025년 2월 23일부터 '임신초기 유산·사산 휴가 기간 확대' 정책이 시행됩니다!
✦ 유용한 정보
목록 클릭 시 내용 확인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번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함께 임신·출산·육아 지원 강화 방안을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임신초기 유산·사산 휴가, 기존 5일 → 10일로 확대!
임신 11주 이내에 유산이나 사산을 경험한 경우 기존에는 최대 5일의 휴가만 제공되었는데요. 이번 정책 개정으로 인해 10일로 확대되었습니다!
참고) 2022년 기준 유산·사산 건는 89,457건
건출생아 수 대비 유산·사산 비율 증가: 2014년 28.6% → 2022년 35.9%
이는 고령 임신부 증가와 함께 유산·사산 비율이 증가하는 현실을 반영한 결정인데, 이번 개정을 통해 임신 초기에 유산·사산한 경우에도 여성들이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충분한 휴식 시간이 보장됩니다.
특히, 정신적·신체적 안정을 취할 수 있는 기간이 늘어났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게 되었네요.
📌 개정 전후 유산·사산휴가 기간 비교
임신 주수 | 개정 전 (기존) | 개정 후 (2025.2.23 시행) |
~11주 | 5일 | 10일 |
12~15주 | 10일 | 10일 |
16~21주 | 30일 | 30일 |
22~27주 | 60일 | 60일 |
28주 이상 | 90일 | 90일 |
즉, 기존에는 임신 11주 이내라면 단 5일의 휴가만 가능했지만, 이제는 15주까지 동일하게 10일의 휴가가 보장됩니다.
추가된 지원 제도 - 난임 치료 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연장!
이번 개정안에서는 임신·출산뿐만 아니라, 난임 치료 및 육아 관련 지원도 강화되었습니다.
1️⃣ 난임 치료 휴가 확대 & 급여 신설
난임 치료를 받는 근로자의 경우 기존 연간 3일이었던 휴가가 6일로 늘어났습니다. 또한,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우 정부가 유급 2일에 대한 급여를 지원합니다.
이제는 하루 단위로도 사용할 수 있어 더욱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육아휴직 기간 1년 → 1년 6개월로 연장
부모가 각각 1년씩 사용 가능했던 육아휴직 기간이 1년 6개월로 연장됩니다.
다만, 연장된 기간 동안 최대 160만 원의 육아휴직 급여가 지원되며,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부모가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우
- 한부모 가정인 경우
- 중증 장애아동 부모인 경우
육아휴직을 계획 중인 분들은 해당 조건을 잘 확인하셔야겠죠? 😊
✅ 이런 분들이 꼭 확인해야 해요!
🔹 임신 초기 유산·사산을 경험한 여성 및 가족
🔹 난임 치료를 받고 있는 직장인 부부
🔹 출산 후 육아휴직을 고려하는 부모
🔹 정부 지원을 활용해 육아와 일을 병행하고 싶은 근로자
궁금한 점이 있다면 고용노동부 누리집이나 일생활균형 누리집을 참고하세요!
고용노동부 누리집
홈페이지 바로가기
일생활균형 누리집
홈페이지 바로가기
이번 개정으로 인해 임신·출산·육아 과정에서 조금이나마 부담이 줄어들기를 기대해 봅니다.
앞으로도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환경이 더욱 조성되길 바라며, 본인이 해당하는 혜택이 있다면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
✦ 유용한 정보
목록 클릭 시 내용 확인 가능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먼지 실시간 확인 방법과 건강 관리 등 필수 정보 총정리 (1) | 2025.02.19 |
---|---|
허리 디스크 자가 진단 방법과 치료법, 내 허리 건강 지키는 법! (0) | 2025.02.04 |
손톱 세로줄 원인과 해결법 - 검은 줄도 알아보기 (0) | 2025.01.15 |